법구경 - 第 4 章. 화향품(華香品)
꽃의 장
44.
孰能擇地 捨鑑取天 誰設法句 如擇善華
숙능택지 사감취천 수설법구 여택선화
누가 이 대지를 정복할 수 있을까.
누가 천상과 지옥을 정복할 수 있을까.
그 누가 감동적인 법문 엮기를
솜씨있는 이가 고운 꽃을 꾸미듯 할까.
45.
學者擇地 捨鑑取天 善說法句 能採德華
학자택지 사감취천 선설법구 능채덕화
참된 수행자는
이 대지를 정복하고 천상과 지옥을 정복할 수 있다.
진실한 수행자만이
진리의 말씀을 엮을 수 있다.
솜씨있는 이가 고운 꽃을 꾸미듯이...
46.
觀身如沫 幻法野馬 斷魔華敷 不覩死生
관신여말 환법야마 단마화부 불도사생
이 몸은 물거품 같고 아지랑이 같다고
깨달은 사람은 악마의 꽃화살을 꺾어 버리고
저승의 염라왕과도 만나지 않으리라.
47.
如有採花 專意不散 村睡水漂 爲死所牽
여유채화 전의불산 촌수수표 위사소견
꽃을 꺾는 일에만 팔려
제정신을 차리지 못한 사람은
죽음의 신이 앗아 간다.
잠든 마을을 홍수가 휩쓸어 가듯이...
48.
如有採花 專意不散 欲意無厭 爲窮所困
유채화 전의불산 욕의무염 위궁소곤
꽃을 꺾는 일에만 팔려
마음에 끈질긴 집착을 가지고
욕망에 빠져 허덕이는 사람은
마침내 죽음의 악마에게 정복당한다.
49.
如蜂集華 不嬉色香 但取味去 仁入聚然
여봉집화 불희색향 단취미거 인입취연
꽃의 향기와 빛깔을 다치지 않고
꿀만을 따가는 꿀벌처럼
지혜로운 성자는 그와 같이
마을에서 마을로 걸식을 해야 한다.
50.
不務觀彼 作與不作 常自省身 知正不正
불무관피 작여부작 상자성신 지정부정
남의 허물을 보지 말라.
남이 했건 말았건 상관하지 말라.
다만 내 자신이 저지른 허물과 게으름만을 보라.
51.
如可意華 色好無香 工語如是 不行無得
여가의화 색호무향 공어여시 불행무득
아무리 사랑스럽고 빛이 고울지라도
향기 없는 꽃이 있는 것처럼
실천이 따르지 않는 사람의 말은 표현은
그럴싸해도 알맹이가 없다.
52.
如可意華 色美且香 工語有行 必得其福
여가의화 색미차향 공어유행 필득기복
사랑스럽고 빛이 아름다우면서
은은한 향기를 내뿜는 꽃이 있듯이
실천이 따르는 사람의 말은
그 메아리가 크게 울린다.
53.
多集衆妙華 結鬘爲步瑤 有情積善根 後世轉殊勝
다집중묘화 결만위보요 유정적선근 후세전수승
쌓아 올린 꽃무더기에서
많은 꽃다발을 만들 수 있듯이
사람으로 태어났을 때
착한 일을 많이 해야 한다.
54.
花香不逆風 芙蓉梅檀香 德香逆風薰 德人徧聞香
화향불역풍 부용매단향 덕향역풍훈 덕인편문향
꽃향기는 바람을 거스르지 못한다.
전단도 타가라도 자스민도 마찬가지...
그러나 덕이 있는 사람의 향기는
바람을 거슬러 사방에 풍긴다.
55.
栴檀多香 靑蓮芳花 雖曰是眞 不如戒香
전단다향 청연방화 수왈시진 불여계향
전단과 타가라와 푸른 연꽃,
그리고 바시키 등 여러가지 향기가 있지만
덕행의 향기가 가장 뛰어나다.
56.
華香氣微 不可謂眞 持戒之香 到天殊勝
화향기미 불가위진 지계지향 도천수승
타가라나 전단의 향기는
오히려 미미해서 대단치 않다.
덕행이 있는 사람의 향기는
최상의 것으로 하늘의 신들에게까지 퍼져 간다.
57.
戒具成就 行無放逸 定意度脫 長離魔道
계구성취 행무방일 정의도탈 장리마도
덕행을 온전히 지니고
게으름 없이 부지런하고
바른 지혜로 해탈한 사람은
악마도 가까이하지 못한다.
58.
如作田溝 近于大道 中生蓮花 香潔可意
여작전구 근우대도 중생연화 향결가의
한길가에 버려진 쓰레기더미 속에서도
은은하게 향기를 뿜으며
연꽃이 피어오르듯이...
59.
有生死然 凡夫處邊 慧者樂出 爲佛弟子
유생사연 범부처변 혜자락출 위불제자
버려진 쓰레기처럼 눈먼 중생들 속에 있으면서도
바르게 깨달은 사람의 제자는
지혜로써 찬란히 빛나리라.
관련 글 보러가기
▶▶ 사십이장경(四十二章經)
'불교이야기 > 법구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법구경 - 第 6 章. 현철품(賢哲品) (0) | 2023.10.18 |
---|---|
법구경 - 第 5 章. 우암품(愚闇品) (1) | 2023.10.17 |
법구경 - 第 3 章. 심의품(心意品) (0) | 2023.10.16 |
법구경 - 第 2 章. 방일품(放逸品) (0) | 2023.10.16 |
법구경 - 第 1 章. 쌍서품 (雙敍品) (0) | 2023.10.15 |
댓글